반응형

원자력 3

2024 태양광 용량 성장률 2023 64%에서 2024 15%로 대폭 하락 전망. 그러나 장기 모멘텀은 유지

2024 태양광 용량 성장률 2023 64%에서 2024 15%로 대폭 하락 전망. 그러나 장기 모멘텀은 유지  3줄 요약1. 중국발 원자재/모듈 글로벌 공급과잉2. 공급과잉, IRA 등으로 인한 2023 재고축적 과잉수요 및 과잉재고 상황3. 2024 수요 성장률, 2023 수요 성장률에 비해 대폭 감소하겠지만 장기 모멘텀은 유지될 것2023 글로벌 친환경 에너지 투자금액 전년대비 +17%2023 에너지저장분야 시장규모 전년대비 +76%2023 글로벌 태양광 설치 용량 전년대비 +76%2023 중국의 글로벌 모듈 시장 점유율 약 90%2023 지역별 투자 증가율 아시아 +30%, 유럽 +42%, 북미 +30%2023 신재생에너지 중 태양광 비중 63%2023 태양광 용량 전년대비 중국 +97%, 미국 ..

LNG수요 50% 이상 증가 예상, 셰일기업 인수 등 탄소에너지 수요증가 전망 확산 2024

LNG수요 50% 이상 증가 예상, 셰일기업 인수 등 탄소에너지 수요증가 전망 확산 2024 에너지 이슈 요약 에너지 기업 Woodside Energy "향후 10년간(2024~2034) LNG 수요 50% 증가할 것으로 예상" "아시아 신흥국에서 수요 증가의 흐름을 포착" "가스 신규 공급이 증가하고 있지만 수요 증가로 인해 공급 과잉이 되지는 않을 것" 이 전망은 국제에너지기구 IEA의 예상인 탄소에너지 수요가 2040년 전에 정점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보다 훨씬 완화된 것 BIG5 OIL, Woodside 등은 신재생에너지로 대표되는 풍력, 태양열 들은 장기적 공급 신뢰성에 문제가 있어 이를 백업하기 위해서는 가스가 필요하다고 주장 독일의 슐츠 정부는 최근 신규 가스 발전소를 건설 중. 향후 가스 발..

조사해보았다 2024.02.28

오펜하이머와 일본의 원폭 피해자 코스프레 관련 감상평

오펜하이머와 일본의 원폭 피해자 코스프레 관련 감상평 먼저 글을 쓰기 전에 몇가지 말해두고 싶은 점이 있다. 나는 일본의 역사에 대해 잘 알지 못하며 개인적은 견해는 그다지 없다. 이 영상의 내용마저도 나는 그냥 곧이곧대로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1차적인 지식에 대한 접근으로 받아들이고 있으며 이 글 역시 1차적 접근에 대한 감상평을 늘어놓는것 뿐임을 밝힌다. 나는 뉴스나 여론 등을 통해 일본이 원폭에 대해 피해자 코스프레를 하고 있다는 정도는 알고 있었다. 솔직히 그 소식을 듣고 개인적으로는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일본은 태평양 전쟁을 스스로 일으킨, 선제공격을 한 전범국인데 패배를 했다는 이유로, 전쟁의 과정 속에서 원폭을 맞았다는 이유로 피해자 코스프레를 한다? 이건 마치 거리에서 쌩판 모르는..

리뷰, 후기 2023.09.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