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07 산업생산 추세 하락국 비율 15/19 78.9%
7월에 나온 지표가 아니라, 최근 나온 지표다. 7월의 정보가 취합되어 지금에서야 나오는 것이다. 실제 시장은 7월의 것이지만 정부 관료들과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 반영되는 것은 7월의 정보가 9월에 적용되는 것이다. 최근 인플레 하락하지 않는다는 논쟁과 쇼크가 발생하는 등 내 입장에서는 어안이 벙벙할 수밖에 없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어 첨언해둔다
중국이 러시아를 옹호하자, 이에 대한 비판각을 세운 독일이라는 내용이다. 다만 그 기조가 어느 정도 수준인지는 의문이다. 지난 트럼프 정부때도 입으로는 열심히 중국을 비판했다. 하지만 무역 의존도는 미중패권분쟁이 강화되는 사이에도 지속적으로 강화되었다. 입으로는 중국을 비판하되, 경제는 중국과 친하자는 것이 유럽의 기조였다. 이번에는 과연 다를지? 지켜봐야겠다. 다만 분명한 것은 글로벌 밸류체인 분산 기조가 강해지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중국에 속한 강력한 밸류체인이 의도적으로 구축된 것이며 영원불멸하지 않다는 것, 즉 무역의존도를 100% 깎아내릴 수는 없겠지만 상당부분 재편되는 것만은 명확하다는 것이다.
사람들이 자주 착각하는 내용이 있다. 긴축 기조가 완화되면 당장 경기가 상승할까? 그것은 절대 아니다. 현재 이미 중립금리를 넘은 수준에서 통화정책 기조가 아예 전환되지 않는 한 이미 강력하게 잠근 통화정책 기조는 경기를 찍어누르는 상태로 지속될 것이다. 예를 들어 금리가 4%라 하자. 일반적인 잠재성장률 2.5~3%대의 경제 하에서 금리 마지노선은 약 2~2.5% 수준이었다. 그런데 금리를 4% 유지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금리 인상도, 인하도 없다면 경기는 하방으로 지속될 것이다. 다만 증시는 조금 다를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증시는 현재 자이언트, 울트라 스텝 등 강력한 긴축기조를 반영하고 있으며 그 같은 기조가 선회되는 순간 기대심리에 의해 변동성 장세가 일어날 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결국 경기와 증시의 대반등을 위해서는 통화정책 선회가 필요한데, 현대의 연준이 어느 수준까지의 포퓰리즘성 책임론을 버틸 수 있는지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 생각한다. 연준이 앞으로 터키, 아르헨티나, 베네주엘라식 포퓰리즘 통화정책을 펴든, 아니면 볼커식 정석 통화정책을 펴든 어느 쪽으로든 대응을 해나갈 수 있는 유연한 대응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런 부분에 대해 나는 참 고민이 많다. 좌익계에서는 기후위기는 피해갈 수 없는 명징한 위기라 보고, 우익계의 일부에서는 기후위기는 과장, 왜곡되었으며 자연스럽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무엇이 사실인지 나는 잘 모른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기후대응 피해 비용은 감소하고 있지만, 이상기후의 절대적 규모나 수는 증가하고 있다. 이것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 것일까. 선진국에서는 날이면 날마다 탄소에너지의 감축을 이야기하고, 후진국에서는 탄소에너지의 실질적 감축은 불가능하다고 성토한다.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논하는 것처럼 2030 넷제로를 완성시키는 것이 가능할까? 사실. 그것은 불가능한 것이 아닐까. 만약 정말로 그들의 주장처럼, 2030 이후에는 더이상 개선할 수 없는 지옥나락으로 지구 생태계 전체가 몰락하고 마는 것일까. 참 어려운 주제다. 이런 범 지구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이념에 따라 일부 의견이 갈린다는게 참 원망스럽다.
우크라의 경제가 피해를 입긴 했지만 의외의 선전을 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우크라 정부는 통화의 달러 페그제 연동으로 인해 통화가치 폭락, 인플레에 저항했고, 법인세 인하, 판매세, 수입세 임시 중단, 수입 독려, 생산, 소비 장려, 금융시스템 안정화 대책 등 다양한 활동을 했다고 한다. 현재 IMF 등에서 다양한 지원대책이 논의되고 있다고 한다.
인플레, 경기 하방추세로의 전환은 명확하지만, 예상보다 경기가 너무 강한 탓에 연착륙론자들이 말하는 빠른 전환기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우리가 생각하던 것보다 조금 더 긴 고인플레 기간, 그리고 그를 억제하기 위한 긴축기조의 장기화가 논의되고 있다. 이번 FOMC에서 1% 금리 인상. 소위 울트라 스텝이라고 불리는 어마어마한 규모의 금리 인상을 취할 수도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조사해보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PPI 하락 지속. CPI 역시 시간의 문제일뿐 하락 자체는 명확 (0) | 2022.09.15 |
---|---|
해외자료)인플레이션 쇼크. 확인된 수요의 강력함. 긴축의 정당성 확정 (0) | 2022.09.14 |
글로벌 중앙은행의 통화정책과 정당성, 건전성 논쟁 논점 요약 (0) | 2022.09.13 |
최근 좌익진영에서 정유사 전기료 깎아준 것으로 윤석열 비판하는게 바보같은 이유 (2) | 2022.09.10 |
러시아 제재 효과 없는 것이 분명한가. 러시아 성장률 대폭락, 미국 시추공 수 감소 추세 (0) | 2022.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