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대표적으로 스타벅스 커피를 예를 들어 분석해보겠다.
전자공시시스템 https://dart.fss.or.kr/ 에 접속해서 스타벅스를 검색하면 기업정보공개법령 덕에 이렇게 스타벅스의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다.
이중 포괄손익계산서 항목을 먼저 살펴보자.
스타벅스는 2016년 한 해 동안 총 1조28억1천4백3십만원 가량의 매출을 올렸다. 이게 전부 커피판매로 이뤄진 것이 아니라 빵이나 MD상품(컵이나 원두 텀블러 등)도 포함된 수치이긴 하지만, 어쨌든 스타벅스의 원가내역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지표이니 그냥 커피라고 생각하도록 하자.
억이하 단위를 절삭하고 표를 살펴보면 이렇다.
A. 매출액 : 1조 28억원
ㄴ 원가를 고려하지 않은 순수 판매액
B. 매출원가 : 4448억원
ㄴ 판매액의 원가. 즉 원두와 우유값 등.
--------------------------------
C. 매출총이익(A-B) : 5579억원
D. 판매비와관리비 : 4727억원
ㄴ 인건비, 임대료, 광고비, 통신비, 보험료, 장비 및 시설비용, 전기나 수도비용 등 매장의 유지관리에 소모한 비용
---------------------------------
E. 영업이익(C-D) : 852억원
F. 금융 및 기타손익 : 1억원
ㄴ 은행이자등 영업활동이 아닌 금융거래등에서 얻은 손익
---------------------------------
G. 법인세차감전순이익(E+F) : 853억원
H. 법인세 : 201억원
ㄴ 법인세.
---------------------------------
I. 당기순이익 : 652억원
ㄴ 세금을 내고 난 후 순이익.
기타포괄이익은 부동산가치의 상승하락 등 직접 벌어들인 돈은 아니지만 재산의 가치가 변동된 것들의 합계이므로 여기까지 신경쓸 필요는 없다.
결과적으로 스타벅스는 1조 28억원어치 빵과 커피를 팔아서, 652억원을 남긴 셈이 된다.
비율로 따지면 6.5% 정도이다.
즉 커피 한잔에 5,000원이라고 했을 때, 모든 비용을 제외하고 남는 돈은 겨우 325원 정도라는 뜻이다.
2015년도 계산서는 더 처참하다. 7739억원어치 커피를 팔아 282억원을 남겼다. 3.6% 정도이므로
커피 한잔에 5000원이라고 하면 180원의 순이익을 남긴 것이다.
그렇다면 대체 무슨 비용이 얼마나 들길래 커피 한잔 팔아 몇백원밖에 남기질 못하는 것일까?
궁금하니 한번 알아보도록 하자. 나도 궁금해졌으니.. 매출원가와 판매비와 관리비 세부내역을 보면 어디에 얼마를 썼는지 알 수 있다.
매출원가 4448억원 중 커피나 음료, 빵 등(제품)의 원가 비중은 41% 정도임을 알 수 있고,
총 판관비 4727억원 중 에서는 인건비가 1093억원(23%), 임차료가 1445억원(31%)으로 가장 비중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정리하자면 이렇다.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합계는 9175억원으로 삼는다.
커피 한 잔의 가격은 5000원이라고 가정한다. 빵 등 식품도 다 커피로 친다. 세세하게 구분할 수 없으니.
2016년 기준으로 커피 한 잔을 5000원에 팔았을 때, 총 비용은 4675원이며, 이 중
원두나 우유, 토핑 등의 직접적인 재료비는 41%(2050원)
ㄴ 아메리카노처럼 원두만 쓰는 경우 원가비중은 이보다 낮겠지만, 평균으로 생각하자.
평균적으로 커피나 라떼는 재료원가가 500원 가량이므로 대부분 빵이나 스무디 등 기타메뉴의 원가가 평균을 올리는 것임을 상상할 수 있다.
커피머신으로 음료를 추출하는데 소모되는 기계의 가치가 4%(181원)
인건비가 12%(595원)
임대료가 16%(787원)
물이나 전기, 가스값이 2%(100원)
기타잡비가 약 20% 임을 알 수 있었다.
이제 우리는 커피장사가 생각보다 남겨먹는 게 없는 장사라는 걸 확인하였다. 그리고 인건비보다 임대료가 더 비싸단 것까지.
왜 경영자들이 인건비나 자잘한 소모품을 아끼는 데 그리 민감한지도 간접적으로나마 알 수 있었을 것이다.
저기서 인건비가 10% 올라 660원이 되면 커피 한 잔당 순이익은 60원이 감소해서 총 순이익이 20%나 감소하는 지렛대 효과를 부르기 때문이다.
https://www.cfe.org/20201203_23280
생산요소의 가격이 상품가격을 변동시키는 구조 뿐 아니라, 상품가격이 생산요소의 가격을 변동시킬 수 있음을 설명하고 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730367.html
“각 업체들이 요구하는 향과 맛을 내기 위해 따로 로스팅해서 원두를 공급할 뿐,편의점 납품 원두 가격과 커피전문점 납품 원두 가격에 별 차이는 없다” 원두커피 가격이 천차만별인 것은, 임대료·인테리어·인건비 등 매장 관리와 관련된 비용이 업체마다 크게 다르기때문이라는게 업계와 전문가들의 공통적 분석
법인세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대기업들도 분식회계를 많이하기땜에.. 실제와는 거리가 있다.
GAAP 시절 얘기지. 지금은 IFRS 안정화되서 이젠 분식 거의 못한다 보면 됨.
계약이나 진행률 수익인식 어느정도 조정가능한 중개업 건설업등 일부 업종 제외하고는.
근대 요즘 전부 스벅이랑 가격 비슷한데 왜 스벅만 비싸닺생각함 그리고 애초에 길거리에 1500원짜리랑은 일반인도 맛이 확 다르게 느낄만큼 커피 맛차이가 나는데
커피명가 이디아 파스쿠치 등등 다 비싸지 않나
아메리카노기준 저가형카페들은 천원대고 이디야는 삼천원 스벅 탐탐같은곳은 4천원이지 스벅 커피값이 기타 제조음료땜에 과하게 인식되는면은 있어도 한잔에 4천원을 지불할만한 퀄리티가 나오지 않는것도 사실이니까ㅋㅋ.. 저가형브랜드 많이 나온 요즘은 가격에 대한 불만이 많이 사그라들긴햇음
이전부터 우리나라 커피가격이 스타벅스 기준으로 형성되어왔거든
스타벅스가 올리면 다 같이 올리고
스타벅스랑 비벼볼만하면 좀더 비싸게, 아니면 좀더 싸게
이디야는 원래 태생이 중소규모 가맹으로 시작했고, 지금은 꽤 좋아졌지만 옛날엔 카페베네 수준으로 맛없기로 유명했던 곳이긴 한데, 암튼 아메리카노 2800원은 합리적인 가격이라고 봄
파스쿠치, 투썸, 할리스, 탐탐, 엔젤은 취향의 차이지만 스벅보다는 급이 한단계 아래라는게 개인적인 평가... 그래서 커피 가격이 비싸게 느껴지는 듯
스벅보다 비싸기로 유명한 커피빈, 폴바셋은 먹을만 하니까 비싸도 이해하고(물론 난 안감), 그외 비싸게 받는데는 한번쯤 의심하고 보게 된다. 어차피 그 이상 올라가면 동네에서 보기도 힘들고, 출혈도 커서 자주 안먹게 되고
원가 생각하면 안되는게 내가 직접해먹으면 더 비싸짐
매출원가가 너무 높은데, 아마 자회사에서 매입해오는 방식으로 이익률을 낮출듯
영업익 비율 제조업 기준 2~3%선방
10%대 초우량 기업
따라서 스벅 선방중임
'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여자 승무원들이 기장을 상대로 성매매를 했었다고??? (0) | 2021.05.26 |
---|---|
비상등이 아니라 도발키를 눌러버린 친구 ㅋㅋㅋㅋ (0) | 2021.05.26 |
AMD 리사 수, 압도적 득표로 재신임 (0) | 2021.05.25 |
국방부의 새로이 바뀐?? 붉은군대(공산당)식 경례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25 |
포퓰리즘성 보호주의의 역사 (0) | 2021.05.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