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리 8

일본, 환율 방어 방기로 인해 엔화 저점돌파

일본, 환율 방어 방기로 인해 엔화 저점돌파(해외칼럼)올해 이미 10% 이상 가치가 하락한 엔화는 우에다 가즈오 일본 총재가 환율 방어에 대한 의지를 보이지 않는 순간 저점돌파하고 말았습니다. 투자자들은 지나치게 하락하는 엔화, 상대적으로 높은 인플레에 대응하여 우에다가 금리 인상, 혹은 환율 방어를 할 것이라는 기대를 하였으나 그것은 완전히 빗나가고 말았습니다.우에다 총재는 최근 기자회견에서 엔화 약세가 인플레이션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고 언급했습니다. 또한 그는 환율은 통화정책의 대상이 아니라는 언급을 했습니다. 이는 일본 중앙은행이 환 방어를 위한 움직임을 하지 않을 것이라고 해석되어 엔화를 저점돌파시킨 것입니다.글로벌IB들은 그 결정을 비판하며 일본이 엔화 약세, 인플레이션을 방어하기 위해 다..

펌-이슈 2024.04.27

글로벌수요, 무역, 금리인하 압력, 탄소에너지 투자 증가 중

2024 경기 예측에 대해 -현재 글로벌 경기가 경제 원칙에 의해 돌아가기보다는 정치적 논리에 의해 돌아가는 경향이 매우 짙기 때문에 함부로 예측하는 것은 옳지 못하다. 2023년 경기 전망을 크게 틀렸던 이유 중 가장 큰 것 역시 그런 요인들에 있었다. 연준은 볼커수준의 긴축은 아닐지라도 합당한 수준으로 보이는 긴축을 했다. 반면 바이든은 IRA, 학자금대출탕감, SVB사태 지원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 지원정책을 펼쳤고, 실제 연준의 긴축에도 불구 M0는 크게 상승, M2는 실제 거의 긴축되지 않았다. 그렇다면 2024년에는 대체 어떻게 되는걸까. 바이든은 한 번 법원에서 패소했던 학자금대출탕감책을 다시 내놓은 것으로 보이며 될 때까지 밀어붙일 기세로 보인다. 공화당이 다소 과도한 이념책으로 인해 상하..

2024 글로벌 경기, 금리인하론에 대한 뉴스 및 감상평

2024 글로벌 경기, 금리인하론에 대한 뉴스 및 감상평 이슈 요약 2024 1월 CPI 예상보다 높아 끈적한 인플레이션 - 물가지표의 하락세가 점점 약해지고 있다 CPI YOY는 아직 하락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CPI MOM, 고용 등에서 하락세 지연 혹은 상승세 확인 제로인플레에 가까웠던 PPI마저 상승기조 발 압도적인 3월 금리인하론에서 최근 설문조사 결과 6월 금리인하론 51%로 시장 금리인하론 약화 연준, 글로벌 중앙은행 금리인하 신중론(금리 유지론) 오히려 금리인하가 아니라 추가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견해도 있어(래리서머스 등) 트럼프, 바이든 좌우 가리지 않고 긴축 중단, 금리인하 요구 민주당은 연준위원들을 친민주당(완화적 정책 옹호)로 바꾸고, 트럼프의 경우 재집권 시 자신의 의지대로 움직이..

개인의견 2024.02.22

"인플레이션 2% 목표는 연준의 임무" 23.08 파월 잭슨홀 미팅 연설 전문 및 요약

23.08 파월 잭슨홀 미팅 연설 전문 및 요약 요약 인플레이션을 2% 목표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연준의 임무이다 긴축적 정책은 인플레이션이 목표(2%)를 향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유지할 계획이다 현재의 인플레이션은 코로나 공급망 쇼크,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강한 수요 등으로 인해 발생한 것이다 인플레이션을 2% 수준 밑으로 내리려면 경기와 노동시장을 약화시킬 필요가 있다 2023 경기는 예측치, 예상보다 강력하며, 이는 추가적인 인플레이션, 추가적인 긴축의 근거가 된다 인플레이션은 정점 대비 하락했지만 여전히 너무 높다(코로나 이전 평균에 비해) 식품, 에너지 등의 변동성 요인이 날뛰고 있다 임료에 미치는 통화정책 영향력은 늦어지는 것이 당연하나 최근 뒤늦게나마 영향력이 ..

2023.07 FOMC 감상평

2023 07 FOMC 감상평 먼저 결과만 보면 베이비스텝만으로, 점도표 상향은 없었다. 희망하는 강도는 아니었지만 금리인상 중단을 통한 버블 가속을 원하는 시장의 강도보다는 강했다. 기타 특별히 달라진 점은 없었고, 그저 2025경 이전에는 정상범주인 2%이하의 인플레이션을 보기 어려울 것이란 발언을 했다. 어쩌면 파월은 인플레의 재상승마저 다소는 용인하는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최근 매파 필두 블라드 총재가 자발적 사퇴를 했다. 이유는 알 수 없지만 개인적으로 추가 긴축을 반대하는 현 민주당 정권이나 지지층과의 알력이 그 원인이 아닐까 싶다. 이로써 연준 내부의 매파와 비둘기파간의 추는 상당히 기울었다 보고, 아무리 강해봐야 중도매파 수준으로 이번 금리인상 싸이클이 이어지지 않을까 하는 ..

개인의견 2023.07.27

러시아 최후의 명장, 러시아 경제계의 이순신, 중앙은행장 엘비라 나비올리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러시아 최후의 명장, 중앙은행장 엘비라 나비올리나에 대해 알아보았다 잘 모르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러시아는 개전 초기 개박살 할복루트도 존재했다 바로 이 때인데, 중앙은행장 나비올리나는 빠르게 금리를 대폭 인상하고, 시장에 개입해 루블화를 폭등 방어시켰다 만약 당시 루블화를 방어하지 못했다면 루블화의 연쇄 가치 하락으로 러시아는 진즉 전비 충당이 어려울 수 있었다 서방에서는 전범국 러시아를 유지시키는 나비올리나에 대한 성토가 지속되고 있다 Эльви́ра Сахипза́довна Набиу́ллина(엘비라 나비울리나) 러시아 중앙은행장 Elvira Nabiullina 그녀는 2013년부터 러시아 중앙은행장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 대놓고 푸틴을 비판하지는 못하지만 옷이나 브로치 등 간접적인 방식으로 ..

조사해보았다 2022.09.26

2022 9월 FOMC 요약. 기대인플레 하강을 위해 단기적 경기하강 필요

2022 9월 FOMC, 파월 발언 요약 파월 발표 (공부용으로 쓰는 글이라 개인 해석이 추가되어 있으니 해당 부분 감안 바람) "인플레이션을 2%로 낮추는데 최선을 다하고 있다" "가격 안정이 없다면 미래 주가 역시 어려울 것(인플레를 낮춰야 주식시장의 장기 포텐셜도 살아난다)" "금리 0.75% 올리기로 결정" "대차대조표 큰 폭으로 축소(양적 긴축)" "최근 소비가 줄었고, 주거 섹터에서 소비 역시 줄었다" "22년 GDP 상승률은 최종적으로 0.2% YOY 수준이 될 것으로 추정" "노동시장은 여전히 타이트하다(인플레 강세요인)" "노동 시장 참여자 수가 증가했으나 노동 참여율은 여전히 과거 평균 대비 낮다" "3년정도에 걸쳐서 실업률이 4% 정도 될 것으로 기대한다(4% 수준까진 고민 없이 올릴..

조사해보았다 2022.09.22

한미 민주당이 금리 인상 주장하는 이유를 조사해보았다

한미 민주당이 금리 인상 주장하는 이유를 조사해보았다 한미 양국의 민주당이 코로나 말기를 맞아 금리인상 및 테이퍼링을 주장 기본적으로 완화적 유동성 정책(MMT 등)을 주장하는 민주당 및 좌익 계열의 입장에서 논리적으로 이상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다 하지만 이것은 완화된 유동성 정책을 유지하기 위함임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다 기본적으로 좌익계열 학자들 사이에서는 중앙은행의 통화 발행은 시장의 인플레와 자산 버블을 일으키고 정부의 유동성 정책. 즉 적자재정정책은 인플레를 불러 일으키지 않는다고 본다 좌익들은 2021의 인플레가 공급망 쇼크, 중앙은행, 정부의 유동성 정책, 그린플레이션, ESG 등 갖가지 영향으로 인한 복합 인플레이션. 즉 그 근본 원인중 하나인 유동성 정책을 인정하지 않고..

썰과 복기 2021.12.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