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폭락 7

주가 폭락한 신용조회기업 이크레더블에 대해 알아보았다

내가 진정 하고싶은 이야기는 이크레더블이 쓰레기 회사라는 뜻이 아니라, 과거 대비 소폭 낮아진 성장성 때문에 과거와 동일한 수준의 밸류 밴드를 유지할 수 없더라도 충분히 정당화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타 자료 https://www.news2day.co.kr/article/20220106500102?site_preference=normal “이크레더블, 안정적인 재무구조 & 배당메리트 부각” [뉴스투데이=장원수 기자] 이베스트투자증권은 6일 이크레더블에 대해 과거 10년간 매년 성장한 기업이라고 전했다. 정홍식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이크레더블의 주가는 52주 최저가를 기 www.news2day.co.kr 본 기사는 지속적으로 성장성이 유지되고 있다고 하지만, 최근 이익성장성이 하락하고 있다는 부분은 ..

개인의견 2022.01.18

혼인(결혼), 출산율 폭락시킨 문재인, 박근혜, 김대중, 김영삼. 공통점은 폭증한 여성정책

요약 1. 대한민국의 출산율, 혼인건수를 동시에 박살낸 2. 김영삼, 김대중 3. 박근혜, 문재인 출산율, 혼인율은 함께 움직이고, 출산율 혼인율이 폭락했던 시기의 대통령은 각각 문제는 요 두 놈들. 페미표를 받아 정권을 수립한 박근혜와 문재인은 여성가족부뿐 아니라 페미세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데 힘을 썼고, 문재인, 박근혜 이 두 년놈들이 대한민국의 혼인율과 출산율을 박살낸 장본인 중 하나이다 https://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722 7대 사건으로 본 참여정부 여성정책 4년 성적표 - 여성신문 ■ 역대 여성정책 성과 및 과제14대 문민정부 김영삼 대통령 (1993~1998년)1993년 성폭력특별법 제정 1994년 여성발전기본법 제정 ..

조사해보았다 2022.01.09

주가 폭락한 폐기물처리 기업 와이엔텍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종토방 여론 https://blog.naver.com/moonjg2015/222600312058 [와이엔텍] 소각장 반려와 현재 가격에 대한 생각 최근 와이엔텍 주식 IR 담당자와 통화하며, '설립 후 증설 및 신설에서 반려가 된 적이 없다.'... blog.naver.com 블로그 주인은 주담과 통화 결과, 증설, 신설은 반려가 된적 없다고 말했다고 한다. 하지만 분기보고서에서는 취소되었다고 하는데?? 경쟁자의 진입은 어려울 것이라고 보았는데, 이것은 본인이나 분기보고서와 의견이 같다 대충 다 맞음. 폐기물은 소각보다는 매립이 회사측면에서는 유리함. 매립장 충분함 경쟁업체도 없음. 업종 특성상 신규진입도 불가함. 따라서 궂이 소각시설증설 반려처분이 악재는 아니라고 판단됨. 호재 요소 [시장대비 과도한 ..

개인의견 2021.12.22

주가 폭락한 LG생활건강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개인적인 판단들 일반적인 추이 사이에서 저평가인가? O 현재 업계 상황이 나쁜가? O 지수 역시 저평가인가? X(장기적으론 X) 새로운 가치상승 모멘텀이 있는가? X 새로운 가치하락 모멘텀이 있는가? X -개인적 견해- 겨울이 지나고, 선거가 마무리되며 코로나의 영향이 감소하고, 수요 강세의 회복장세가 벌어진다고 전제한다면 반드시 투자해야 할 종목이라고 생각. 만약 오미크론이 더욱 강세가 되어 지수가 쌍봉마저 제대로 이루지 못하고 그대로 추락할것이라고 전제한다면 조금 더 기다려야 한다고 생각. 만약 명확한 타이밍을 포기하고 장기적 관점에서 사모은다고 한다면 소액 분할매수 해도 될 타이밍이라고 생각. 추가적으로 하락해준다면 감지덕지하며 매수해도 될 것 종토방 여론 4월부터 시작했는데 벌다가 잃다가 하다가 ..

개인의견 2021.12.20

2021 말, 글로벌 운임 하락. 인플레이션 감소 요인 발생. 해운주 도망쳐

2021 말, 글로벌 운임 하락. 인플레이션 감소 요인 발생 요약 공급방 병목 개선 신호 포착 발틱운임지수(BDI) 벌크선 운임 약 55% 하락 컨테이너 운임 약 26% 하락 중국 석탄대란으로 인한 석탄 생산량 급증. 이로 인한 전력난 우려 감소. 전력난 우려 감소로 인한 공급 병목요인 하락 말레이시아, 베트남 공장 가동률 상승 중. 내년 1월경까지 백신 접종률 80% 추정 전문가 대상 설문 결과 2021 말이 병목현상의 정점. 추후 점진개선 될 것이라고 추정 우려 요인으로는 위드코로나, 겨울 등으로 인해 글로벌 코로나 확산세 폭증 코로나 확진자 증가에 대해 무던한 국가들은 상관 없으나 이로 인한 셧다운 우려 및 셧다운이 새로이 발생되고 있는 상황 셧다운이 발생한다면 공급망 병목 및 글로벌 경기 하락과 ..

조사해보았다 2021.11.23

연준의 자산 급락 우려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finance.daum.net/news/20210507154711062 뉴스 상세 | 다음 금융 finance.daum.net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일부 밸류에이션(가치 대비 주가 수준)이 정상적인 수준보다 부풀려져 있다면서 투자 심리가 꺾일 경우 자산 가격이 '상당히 감소(significant declines)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주식시장에도 여파를 미칠 전망이다. 먼저 나는 이 뉴스를 이해하기 위해 현재의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엄청난 과거를 기준으로 하면 고점까지 여유가 남았을지 모르지만, 근 20년 즈음을 데이터로 본다면 고점 이상이다. 이 상태에서 더 상승할 수 있을까? 아니면 경기 회복과 함께 조금씩 기대감은 하락할까? 기대치는 선반영되고, 실물경제는 아..

개인의견 2021.05.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