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견

신흥국에서 특히 강한 하향추세 선제적으로 확인. 미국, 한국도 하향추세 유지, 중국 PMI 반락

세학 2022. 8. 2. 02:43
반응형

 

 

다른 지표들은 대표성이 없으니 제조업 PMI만 보면 된다
과거 저점수준에 비해 여전히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현재 긴축이 진행중이므로 PMI의 상승을 점치기는 어렵다
이머징 국가에서 전제적으로 인플레가 발생했었고, 뒤이어 선진국에서도 인플레가 발생했다. 이번에도 개도국 등의 경기가 빠르게 악화되고 있고, 이것은 뒤이어 선진국에서도 드러날 것이다. 과거의 패턴과 조금도 어긋나지 않고 있다. 특히 글로벌 선진국의 실업률이 역사적 저점이라는 것은 통화정책의 전환명분을 매우 어렵게 만든다
새로운 수출입 지표만 보면 대한민국 경제가 더 좋아지는 것으로 볼 수도 있지만
추세를 보면 하향추세임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