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I테마 엔비디아 폭등, OPEC 사우디 뻥카에 유가 폭락




- 러시아 노박/푸틴 "OPEC발 신규 감산은 없다" 발언 이후 유가 4% 가량 하락 "2023말까지 80달러 이상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추가적인 감산 필요없어)" "세계 경제 회복속도가 느리지만 일부 국가의 자발적인 감산으로 글로벌 공급 감소" "현 가격대(70~75달러)는 경제적으로 합당한 수준. 유가 조종 의도 없어"
- 이번 사태는 러시아가 OPEC의 추가 감산론에 동의하지 않을 수 있다는식으로 시장이 이해했고, 이에 글로벌 뱅크런 사태 이후 감산론 등으로 상승했던 가격분을 반납하게 됨
- 현재 유가 상방요인 중국 등 글로벌 경기 반등론, SPR보충론, OPEC추가 감산(사실이 아닌 것으로 확인), 미국 공급 감소
- 현재 유가 하방요인 고금리로 인한 경기 하락론, OPEC추가 감산 거짓론, 중국 리오프닝 효과 예상미만론, 미국 디폴트론, 글로벌 장기공급 증가
- YOY기준 경기 하락국과 경기 반등국 수가 경합되고 있음
- 미국 소비자 지출이 증가함에 따라 물가상승 압력이 발생하고 있음. 장기적으로는 하락추세이지만 소비가 강력해 하락추세를 제한. 주로 기업보다는 식료 등 소비재에서 상방압력이 발생하고 있음
- 금융섹터의 이익 하락률은 약 6%로 5%대의 비금융섹터보다 강한 하락세를 보임
- 미국에서 AI섹터 테마가 작동하고 있음. 주도주는 엔비디아, AMD 등. 구글, 메타, MS도 상승하고 있지만 인텔은 반대로 하락하고 있음. 시장 전체가 상승하는 것이 아니기에 더더욱 의미깊은 현상
- 미국 원유 공급은 감소하고 있지만 반대로 2022~2023 그린플레이션 시기에 유럽 수출을 늘렸던 천연가스는 공급량이 증가했음
- 우크라이나, 드론을 통한 푸틴 암살계획 인정
- 러시아, 유럽이 화평을 요청할 시 에너지 공급 정상화 약조
- 일부 전문가 "현재의 자산시장 상승은 고금리로 인해 어느 순간 제약될 것"
- 드샌티스, 트럼프가 내놓은 친이민자, 재정지출확대 법안(반공화당 이념적인)에 연달아 반대하며 대립각 확대
'뉴스와 지표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저임금 인상과 군간부, 공무원 급여의 상대적 하락이 말해주는 것 (0) | 2023.06.06 |
---|---|
사우디-러시아 OPEC+감산균열에 유가 4.5%가량 폭락 (0) | 2023.05.31 |
2023 금리인하 없다는 FED, 2023 금리인상 중단을 원하는 민주당, 마이크론 제재하는 중국 (0) | 2023.05.25 |
미국 부채협상 관련 협의가 진행되며 디폴트 낙관론 발생, 장기기대인플레 고점돌파로 인한 긴축지속, 강화 리스크, 디폴트 사태 확대 시 뱅크런 사태 재발, 확대될 수 있음 (0) | 2023.05.16 |
디폴트 우려 심화. 그러나 역사적으로 반복되었던 단순한 패턴, 달러화 기축통화 탈락은 단기적으로는 무리, 터키 정권교체가 성공한다면 친러시아 세력은 약화 (0) | 2023.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