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연구에 따르면 S&P가 향후 약 20~25%가량 하락할 가능성 있음

세학 2023. 6. 10. 07:41
반응형
연구에 따르면 S&P가 향후 약 20~25%가량 하락할 가능성 있음
요약
  1. 연구에 따르면 S&P가 향후 약 20~25%가량 하락할 가능성 있음
  2. CPI, 대출 증감율, 예금 증감율 등을 분석해볼 때 경기 하락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강력한 긴축을 유지 중
  3. 연준은 인플레이션, 노동 등 다양한 시장에서의 통화정책 파급 시차에 혼란스러워 하고 있으며 노동시장 등 파급이 늦는 인플레이션 요인을 억제하기 위한 긴축적 통화정책이 향후 일시적 디플레이션 가능성 있음
  4. 은행섹터에 현재 해결될 수 없는 심각한 연쇄작용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 영향으로 향후 수개월 뒤 신용경색이 발생할 것

채권시장 금리 역전에 의한 리세션 예측
  1. 현재 채권시장에서 단기물, 장기물간에 극도의 스프레드 역전현상이 벌어지고 있음
  2. 스프레드 역전현상 이후 경기침체가 시작되는 기간은 약 12개월 이후이며 3월~10년물이 역전된 시간은 2022년 10월경으로 현재 약 8개월 지속되었으므로 평균만을 따졌을 때 2023년 10월경을 기준으로 경기가 급작스럽게 부러지며 경기침체가 본격적으로 시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3. 채권수익률 역전 이후 경기침체가 시작되기까지 가장 긴 시간은 약 17개월으로, 만약 그를 가정한다면 2024년 3월경 경기가 부러질 가능성이 있음
  4. 즉 2023 10월~2024 03월경 급격한 리세션이 다가올 가능성 통계적으로 매우 높음
  5. 제로실업률 상태의 노동시장을 근거로 리세션이 오지 않는다는 주장도 있지만 2000, 2008 글로벌 리세션 역시 초기 스프레드 역전 상황에서 노동시장의 경색이 발생하지는 않았으므로 노동시장은 경기 싸이클의 후행지표. 즉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지 선행적으로 위험을 알리는 지표가 아님을 알 수 있음

은행/대출시장 유동성 경색으로 인한 요인
  1. 2020, 특히 2022~2023년간에 이루어졌던 대규모 대출이 장기추세 관점에서 아직 충분히 축소되지 않았음
  2. 단기금리로 자금을 차입하여 장기금리로 대출을 시행하는 은행 입장에서 단기금리가 높고 장기금리가 낮은 현 상황은 지속되기 어려우며 결국 유동성 경색국면으로 나아갈수밖에 없고, 그것이 연준이 의도하는 유동성 축소-경기 하락-인플레이션 축소 경로임
  3. 은행은 부동산, 소비자, 산업, 자동차 등 거의 전 부문에서 대출기준을 최근 강화시키고 있으며 이로 인한 유동성 경색국면이 도래할 수 있음
  4. 과거 신용시장과 S&P의 상관관계를 따져볼 때 향후 신용시장이 축소국면으로 나아갈것이라 전제한다면 S&P 역시 하락할 것으로 분석 가능
  5. 최근 온라인뱅킹, 온라인금융서비스의 발전으로 예금을 대체할만한 서비스가 보편화되었음. 예를 들어 애플카드의 경우 현재 약 4.1%의 이자율을 제공하고, 기타 MMF, CMA 등 예금이율보다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간편서비스가 많이 보편화되어 은행 입장에서는 단기차입금 혹은 예금이율이 다소 상승할 수밖에 없음. 이는 마진스프레드의 축소로 은행이 더욱 조심스럽고 수비적으로 영업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림
  6. 현재 은행예금은 폭등한 단기금리로 인해 경쟁력이 전혀 없으며 예금이 빠져나갈수록 은행은 대출을 줄이거나 기존 자산을 팔아넘길 수밖에 없으며, 은행이 가진 보편적인 자산. 즉 채권을 매각한다는 것은 역사적으로 낮은 채권가격 상황에 이를 매도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말함. 즉 채권가격, 채권수익률이 높은 상태에서 예금이 빠져나간다는 것은 은행에게 매우 불리한 상황임
  7. 본 연구자료의 가정대로라면 만약 무보험 예금자의 절반가량이 예금을 인출한다면 약 3000억달러 규모, 190개 은행이 잠재적인 위기에 처하게 됨을 알 수 있음
  8. 문제는 SVB등 뱅크런 사태 이후 예금 인출이 중단되었으면 문제가 없는 것이지만 현재 여전히 약 5%의 예금이 빨려나가고 있는 상황임
  9. 향후 경기 침체가 도래한다면 - 예금인출 가속화 - 자산매각 - 채권수익률 상승 - 자산가격 하락 - 자산매각 - 자산가격 하락의 쇼크가 단기적으로 크게 발생할 가능성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