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약
1. 자산 버블 맞다
2. 자산 버블을 늦출 수 있는 재정, 통화정책이 미적지근하다. 즉 밸류가 간단하게 폭락하기는 어렵다(미국)
3. 대부분의 심리 및 자산가격이 PMI지표를 따라가고 있다. PMI지표들은 시간차가 있기는 하지만 코로나기저 > 회복기고 > 회복기저 효과까지 달려가고 있다.
4. 단순 밸류를 보면 분명 자산버블이 맞지만, 채권 금리를 생각했을 때는 아직 천정이 아니다. 그만큼 어마어마한 유동성이 풀린 상태이다
5. 타이밍을 보아 상방을 향해 트레이딩이 가능한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지금을 완벽한 저점이라고 보고 올인하기는 리스크적으로 어려운 지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썰과 복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뿐 아니라 외국에서도 뻥뻥 터지는 코인게이트 (0) | 2021.09.14 |
---|---|
조선시대 사람의 아시아 표류기 - 문순득 (0) | 2021.09.12 |
중국에 뺏겨버린 LCD 점유율 왕좌에 대해 조사해보았다(LG디스플레이 등) (0) | 2021.08.22 |
노가다꾼 임금 때문에 억울한 감정을 느낀 35세 의사 (4) | 2021.08.09 |
보이스 피싱 범죄자에게 2만원 뜯었다가 수난당한 처자 (0) | 2021.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