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민은행이 평가하는 중국, 글로벌 인플레이션.
- 인민은행이 1분기 중국 통화정책 집행 보고서에서 인플레에 대한 내용들을 언급했다.
- 단기간에 영향을 없애기는 어렵고 글로벌 인플레이션 기조는 3분기까지 온건하게 상승 가능성 있음.
- 기저효과, 해외 공산품 등으로 인해 중국 생산자물가PPI 상승폭을 키울 가능성 있음.
- 원자재 중 특히 원유, 철광석, 구리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
- 기저효과가 사라질 즈음에는 생산자 물가가 안정세를 보일 것
- 소비자물가CPI와 생산자물가관의 관계가 약해지고 있다고 주장. 전 세계 원자재가 중국 CPI를 상승시키지 못할 것이라 주장.
- 글로벌 원자재 가격이 중국 생산자물가를 상승시킬 수 있지만, 중국은 지나치게 완화적인 정책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통제 가능할 것이라 주장.
- 중국은 인플레를 안정적으로 통제할 것이라 함.
- 현재 미국 인플레의 주요 원인은 제로금리, 대규모 통화정책, 재정정책이라 주장.
- 인플레를 막기 위해서는 재정 긴축을 해야 하며 다른 방법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
www.edaily.co.kr/news/read?newsId=02164806629048264&mediaCodeNo=257
中인민은행 "글로벌 인플레 우려, 중국도 3분기까지 영향"
중국인민은행. (사진=AFPBB)[베이징=이데일리 신정은 특파원]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이 전세계적으로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면서 3분기까지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상승
www.edaily.co.kr
www.edaily.co.kr/news/read?newsId=03240646629015792&mediaCodeNo=257
인민銀 정책자문 "급격한 대출 축소·기대인플레 상승 막아야"
중국은 민간부문에서의 신용(=대출) 공급이 빠르게 위축되는 일이 없도록 막아야 하며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강화하는 것도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왕이밍(王一鳴) 중국 인민은행 정책
www.edaily.co.kr
biz.sbs.co.kr/article/20000015156
“美 인플레이션 위험 요인은 초저금리·대규모 재정 지출”
경제와이드 모닝벨 '국제금융센터 브리핑' - 정다인 글로벌 뉴스캐스터국제금융센터가 뽑은 핫이슈를 확인해보는 시간입니다.미국 연방준비제도 당국자들의 의견부터 들어볼까요?브레이너드
biz.sbs.co.kr
'펌-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의 범범자들은 대체 어디서 정보를 공유하는걸까? (0) | 2021.05.13 |
---|---|
정부가 야기한 인플레이션과 기대 인플레이션의 정상화. 채권금리 급등 (0) | 2021.05.13 |
진도지코인 가격 폭등하자 개발자들이 팔고 도망쳤다는 소문이 돈다 (0) | 2021.05.13 |
남성착취 제 2의 N번방 내용요약 (0) | 2021.05.12 |
코로나 최대피해국 인도의 자가방역법. 소 똥 바르기~~ (0) | 2021.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