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한국전력이 장기 적자구조라는 것은 좌익들의 선동이다(문재인-좌익 한전 적자)

세학 2022. 5. 27. 02:55
반응형

최근 어떤 좌익 유튜브에서는 한국전력이 10년동안 적자를 보았으며, 지속적으로 적자가 날 수밖에 없는 공기업 구조를 갖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사실이 아닌 명백한 선동이다. 밑의 지표를 보면 알 수 있겠지만 문재인 정부에서 유독 재무상태가 개박살이 난 것이지 평소에는 0~6% 정도의 순익을 내었다
먼저 본 지표를 보면 15~16년을 기점으로 장기 하락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밑의 사진에서 확인할 수 있지만 2017년부터는 문재인 정권의 영향력을 받고 있으며 정권 내내 장기 하락하고 있는 모양새를 알 수 있다. 이후 유가를 확인하겠지만, 오로지 유가 때문에 원가가 높아진 것 오로지 그것 하나때문에 한전 적자가 심화된다는 것도 선동이다. 만약 그 말이 사실이라면 2017년보다 유가가 떨어진 2019년에는 상당부분 순익이 회복되었어야 한다. 그러나 한전은 순익이 2019년에도 지속 하락했다. 다만 마이너스 유가를 기록한 2020년 단기적으로 순익이 흑자전환했을 뿐, 이후 나락길로 빠진 것이다
또한 2014년의 경우 위의 차트와 비교해보면 알 수 있겠지만, 지금 수준으로 유가가 높았다. 그런데도 당시 순익이 흑자였다. 같은 맥락의 가정을 한다면 현재의 순익 수준과 당시의 순익은 유사해야 한다. 하지만 현재의 순익은 대폭 적자이고, 당시는 흑자상태였다. 어찌 다른 요인이 개입되지 않고 순수한 에너지 가격때문에 적자가 났다는 선동을 하는가? 양심이 있다면 그런 주장을 하지 못할 것이다
좌익들이 그토록 한국 전력의 적자에 대해 선동을 하는 이유로는 크게 몇가지가 있다. 1. 탈원전으로 인해 오히려 비용이 감소한다고 했으나 그것이 선동이라는 것을 들켜서 2. 공기업은 선한 것이라는 좌익 이념과 배치 3. 개인과 사기업은 모두가 악한 것이라는 좌익들의 이념적 경제관념 4. 자신들이 지지한 문재인 정권에서 한전의 대폭 적자를 낸 것에 대한 정책실패 외면 5. 자신들은 더럽고 추악한 보수정권보다 항상 우월해야 하는데, 숫자로써 나온 결과가 그것을 부정하는 것에 대한 외면
아 좀.... 주장하는 바는 알겠는데... 나도 한전의 민영화는 반대하지만, 그것을 주장하기 위해 선동은 하지 마라 좀!!! 무식한 대한민국 국민들 속아 넘어간다 이놈들아!!!

https://gang8806.tistory.com/1142

 

원자력 비중이 줄지 않았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카이스트 교수님과 함께하는 팩트체크

이번 전기요금 인상이 원자력이 줄어서가 아니다. (X) 원전반대 모 의원: 원전 늘었다. 2019년 25.9%에서 2020년 29%로. (O) 윈전반대 모 의원: 원전 늘었는데 전기요금 인상은 원전 줄여서가 아니다. (X)

gang8806.tistory.com

https://gang8806.tistory.com/409

 

북한에 몰래 전기 공짜로 퍼준 한국전력. 그래놓고 요금인상?

요약 2016 개성공단 기업인 철수, 2020 1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인력 철수.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은 계속 공급 2020년 6월, 정부에서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후 전기를 완전히 차단조치했다고

gang8806.tistory.com

  • 2016 개성공단 기업인 철수, 2020 1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인력 철수.
  •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력은 계속 공급
  • 2020년 6월, 정부에서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 후 전기를 완전히 차단조치했다고 하였지만, 문서상에서는 판매기록이 남아있음.
  • 한전 측에서는 실제 송전하지는 않았다고 부정 중. 관련 증빙 요구에 검침이 되어있지 않았다고 함.
  • 정부 측면에서 북한과의 관계완화 기조를 위해 일부러 정부가 조장했다는 논란이 있음.
  • 만약 개성공단을 점거한 북한이 군사용으로 썼다면 UN 대북제재 적용위험 존재.
  • 작년, VOA방송에서는 개성공단 내에서 인원이나 물체의 움직임이 포착되었다고 방송. 북한이 개성공단을 이용 및 전기를 활용하고 있었을 가능성 존재.
  • 한전은 지속적으로 친환경, 탈원전, 인플레이션 등 원가인상을 이유로 요금인상을 주장했고, 최근 반발여론이 강해지자 정부 측에서 묵살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