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통계상, 저소득층 임차인의 정신질환, 우울증은 연쇄악화된다. 저소득층의 정신질환 비율은 높을 수밖에 없다

세학 2022. 6. 10. 02:50
반응형

 

 

통계상, 저소득층 임차인의 정신질환, 우울증은 연쇄악화된다. 저소득층의 정신질환 비율은 높을 수밖에 없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

챠트 감추기 저장하기 엑셀 CSV 텍스트 자동 합계표시 필터 --> 항목 제한 해제 수치항목 서식변경 항목 위치 변경 계산항목추가

stat.molit.go.kr

 

 

  • 전국, 수도권, 광역시 등 지역을 가리지 않고 고소득층일수록 자가보유율은 높아지고, 반대로 임차비율은 낮아진다
  • 반대로, 지역을 가리지 않고 저소득층일수록 자가보유율은 낮아지고, 임차비율은 높아진다
  • 소득이 높고 생산성이 높은 도심으로 갈수록 소득과 관계없이 자가보유율은 낮아지고, 수도권 저소득층의 자가보유율은 고작 33%에 불과하다. 즉 수도권 나머지 67% 대부분이 임차인으로 살고 있다는 이야기다

  • 전국 저소득층들은 아파트보다 주거환경이 나쁜 단독주택에서 47.3%가 거주하고 있으며
  • 아파트 비율은 31.6% 수준이다
  • 이는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아파트 비중이 높아지는 것을 볼 때
  • 일반적으로 아파트를 선호함에도 불구, 자산 및 소득이 모자라 비아파트에 거주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다시 요약하자면, 저소득층 중 과반 이상은 불가피하게 비아파트 임차인으로 살고 있는 것이다

 

저소득층에서 정신질환 더 빈번히 발생해. 논란이 아닌 팩트다

논문자료 다수 요약 소득은 정신건강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다 주관적인 수입에 대한 만족도 변화가 우울감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소득 수준에 따라 정신질환자 비중은 늘어난다 사

gang8806.tistory.com

다른 기타 다양한 논문 자료를 확인해보면
소득의 감소는 우울감, 정신질환 보유 확률을 상승시키며

수입에 대한 만족도 하락, 사회경제적 지위 박탈, 연령의 증가, 여성, 낮은 교육수준, 주거지 분리 여부, 고용의 형태, 주거비용 등이 모두 우울감, 정신질환 발생, 자존감 감소를 강화시키는 요인이 되며

우울감, 자존감 감소, 정신질환 발생같은 요인들이 다시금 소득 악화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이 되어 연쇄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즉 최종요약하자면, 저소득층은 부득이하게 단독주택 등에서 임차인으로 살고 있으며
저소득, 연령의 증가, 사회경제적 지위 박탈, 소득에 대한 만족도 감소, 낮은 교육수준, 주거지 분리, 나쁜 고용의 형태, 높은 주거비 비율 등이 우울감, 자존감 감소, 정신질환을 발생시킬 확률을 높이며
이것은 다시금 소득 악화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돌아와 연쇄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즉 저소득층에서 정신질환 비중이 높아지는 것은 필연이며
이는 정책적으로 어느정도 개선할 수는 있을지언정 저소득자의 전반적인 특성 부정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다
저소득층은 정신질환자 비율이 높을 수밖에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