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일지표 매일공부
결론 / 요약
미국 CPI는 생각보다 높은 8.2%(전기 8.3%) 주요 요인은 식료 가격 상승(밀, 계란 등), 렌트비 상승, 유가 하락, 통신료, 중고차 등 가격 하락
CPI의 강고함 및 유가 상승은 연준이 긴축 의지를 강화/확신하는데 일조
시장은 되려 더욱 강한 긴축이 더욱 이른 피벗을 불러일으킬 것이라며 환호
주요 원자재 시장 역시 증시의 상승에 맞춰 동조상승
결국 자산시장의 상승이 기대인플레 요인이라는 의심을 확신케 만드는 사례에 지나지 않아











2022.09.28 - [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 해외자료)포퓰리즘의 늪에 빠진 영국의 QE와 파운드화 급락
해외자료)포퓰리즘의 늪에 빠진 영국의 QE와 파운드화 급락
2022.09.24 - [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 해외)영국의 감세 + 확장재정이 불러일으키는 기준금리 폭등 해외)영국의 감세 + 확장재정이 불러일으키는 기준금리 폭등 해외자료)영국의 감세 + 확장재
gang8806.tistory.com












'개인의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경기 부양 실패로 경제지표 숨기고 잠수 (0) | 2022.10.20 |
---|---|
푸틴의 완화적 스탠스. 본심일까. 만약 본심이라면 글로벌 사회는 경기 하락 여력 감소 (1) | 2022.10.15 |
페이스북 폐쇄, 블로그 운영방침 변경에 대한 생각들 (0) | 2022.10.12 |
미 연준의 포퓰리즘성 긴축완화 우려가 상당부분 해소된 것으로 추정 (0) | 2022.10.01 |
거 참 연착륙론자들 조롱하기 좋은 날씨네 (2) | 2022.09.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