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스트케인지언
시장실패를 강조하는 소수의 비주류 케인즈학파, 다만 누가 포스트케인지언인지는 논란이 분분하다. 대체로 조앤 로빈슨이나 피에로 스라파, 니컬러스 칼도어 등이 들어간다. 학파 단위의 통일된 움직임은 없기 때문에 혹자는 주류경제학자들과 놀기도, 혹자는 마르크스주의에 빠지기도 했다. 신고전파에 반발하며 비판하는 입장으로 신고전파의 이론등은 전혀 채택하지 않는 모습이다. 극소수에 불과하기 때문에 학파라 부르기 민망하다. 비판경제학파 비슷한 이단이라고 보면 된다. 케인지언이란 호칭이 들어가서 주류 학파 같지만 전혀 아니다. 후술될 네오케인지언이나 뉴케인지언과 절대 헷깔리지 말아야 한다. 비경제변수를 중심에 놓고 논리를 전개하는 경우도 많다.
Post Keynesian
2008년 세계 경제 위기이후 주류경제학의 위기를 극복할대안 경제학을 주장하고 있다.대체로 신고전학파의 오류에 대해서 저격하는 것이 이 학파의 주요 활동이다.
이 학파의 주요 주장으로는, 실질 임금의 상승이 실업을 증가시킨다는 신고전학파의 관점을 정면으로 부정하는 것 등이 있다. 신고전학파는 임금의 하락이 완전고용 상태를 만든다고 주장하지만, 이와 반대로 포스트 케인지언은 임금의 상승이 시장을 확대하며, 임금의 하락은 경기를 하락 시키며 완전고용은 이뤄지지 않는다고 본다. 또한 공급 보다는 수요가 선행한다고 보는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소득효과에 대해 선호하는 반면대체효과에 있어서는 대체로 부정하는 등, 여타 다른 주류학파와 반대 노선을 타고 있다.
현재 경제학계에서의 포스트 케인지안의 위상은 대안 경제학으로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는 다양성을 추구하는 일부 모험가들의 시도 수준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의 논문 등에서는 주로 한국 경제 상에서의 분배에 있어서의 방법론의 한가지 예시나, 비주류 경제학의 근황 정도로나 소개 되며, 논문의 조회수는 많이 낮은 편이며, 논문 인용도 거의 없다시피 하는만큼 상당히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다. 해외 논문 쪽은 오히려 한국의 논문보다 더 관심이 흉흉한 편이며 관련 연구가 거의 없다시피하다.
비판경제학
비주류 경제학들은 "고전학파" 이론에 대한 비판으로 시작한 "비판 경제학"에서 태동했다. 비판경제학은 경제학이 아직 지정학적 구분에서 벗어나지 못한 당시 시대상에서 주류 경제학이 보여주는 단점을 자체적으로 극복하려는 시도로 생겨났기 때문에 아예 새로운 경제학적 틀을 만들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졌었다 하지만 한계혁명이 일어난 이후, 즉 근대경제학이 태동하자 경제학에 순수이론적 바탕이 성립되고 검증을 겨쳐 학파 공통으로 보편화된 경제 이론들이 20세기에 등장한 뒤엔 여러 소위 말해지는 비주류경제학 중 주류경제학을 핵심 이론부터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의 발전을 이룩한 것은 아직 없다. 애초에 검증이 끝나서 주류측, 비주류측 학파 구분 없이 보편화된 "원리"를 능가하거나 부정하는건 불가능하기 때문인데,[4] 이 때문에 현대의 비판 경제학은 주류경제학이 설명하지 못하는 몇몇 사례들을 부분적으로 설명하는 데 머무르고 있다.
-문재인의 사상적 배경인 소득주도 성장 > 포스트 케인지언.
-이해를 못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 같아 덧붙이자면
"기업아! 일단 투자를 늘려! 그러면 당연히 시장의 수요도 증가한다니까!"
"대중들아! 일단 소비를 늘려! 그러면 당연히 살기 좋아진다니까!"
"일단 임금을 올려! 그러면 당연히 수요가 증가하니까 경기가 선순환된다니까"
"아니 경제가 어려운 것은 수요를 보충할 소비자가 어려워서라니까! 그러니까 기업과 자본가에게 증세를 때리고 소비계층에게 기본소득 등으로 소득을 증가시켜야 된다니까!"
"임금을 늘린다고 해서 실업이 늘지도 않고, 임금을 줄인다고 해서 실업이 줄어들지도 않는다니까!"
이 논지들이 모두 포스트케인지언의 논지라 이 말이다.
www.postkeynesian.net/post-keynesian-economics/
포스트 케인지안 단체가 말하는 자신들의 특성
Post-Keynesian Economics (PKE)는 효과적인 수요가 경제적 성과의 핵심 결정 요인이라는 John Maynard Keynes와 Michal Kalecki의 주장을 기반으로하는 경제 사고 학교입니다. PKE는 주류 경제학의 근간이되는 방법 론적 개인주의를 거부합니다. 대신 PKE는 근본적인 불확실성과 사회적 갈등이 특정 제도적 맥락에 내재 된 사회적 관습과 휴리스틱에 기반한 인간 행동의 분석을 필요로한다고 주장합니다. 사회적 상호 작용은 거시 경제 수준에서 뚜렷한 체계적 속성을 발생시킵니다. 예를 들어 모든 개인이 동시에 저축을 늘리려 고하면 총수요와 생산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총 저축이 증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절약의 역설).
효과적인 수요의 원칙은 경제 활동이 주로 지출 결정에 의해 주도된다는 것을 가정합니다. 특히 투자는 수요, 생산 및 고용의 주요 결정 요소로 간주됩니다. 신고전주의 적 (주류) 접근 방식과 달리 투자는 저축의 가용성에 의해 제한되지 않고 신용의 가용성에 의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투자 결정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동물 정신'에 의해 주도되는 것으로 간주됩니다. 따라서 경제 활동은 일부 최적화 행동의 결과로 축소 될 수 없으며 대신 기대와 정서, 소득 분배 및 재정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지출 성향이 개인과 기업 그룹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소득 분배는 PKE에서 중요한 역할을합니다. 소비 성향은 소득 수준이나 소득 등급에 따라 다르지만 투자 성향은 기업 규모와 강도에 영향을받습니다. 따라서 소득과 부의 분배 변화는 총수요에 영향을 미칩니다.
PKE는 또한 통화 이론에 대한 독특한 견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불확실성 (유동성 선호)에 대한 보호 수단으로 돈을 보유하고, 계약의 분모로 돈을, 지불 수단으로 돈을 사용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현대 경제에서 돈은 대부분 상업 은행이 대출 결정의 부작용으로 만든 은행 예금으로 구성됩니다. 따라서 통화 공급은 중앙 은행이나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하에 있지 않습니다. 통화 및 금융 시스템의 유연성은 자본주의 경제의 역 동성을 허용합니다 (신용은 투자 자금 조달에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그러나 또한 금융 불안정과 신용 주도 거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불확실한시기에 유동성에 돌입하면 금리가 상승하고 자산 가격이 하락하여 재정이 불안정해질 수 있습니다.
PKE는 현대 경제를 실질 변수 간의 균형 시스템이 아닌 현금 흐름 시스템으로 간주합니다. 따라서 '자연적'이자율 (및 관련 '자연적'실업률)과 같은 개념은 거부됩니다. 이자율은 현재 대 미래 소비의 균형 가격이 아니라 유동성 가격입니다. 중앙 은행의 결정에 크게 영향을받는 분배 효과.
신고전주의 경제학과 달리 PKE는 임금 유연성과 노동 시장 구조 개혁을 완전 고용의 경로로 보지 않고 고용을 상품 시장의 수요 조건을 반영하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자본주의 경제는 완전 고용을 향한 자동 메커니즘이 없습니다. PKE는 임금 삭감이 실업을 줄이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견해를 거부합니다. 왜냐하면 그러한 삭감은 소비 지출 감소로 이어지고 따라서 총수요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PKE는 이것이 단기적 일뿐만 아니라 사회적 임금 규범과 수요 중심의 생산성 증가와 같은 히스테리시스 메커니즘 때문에 장기적으로도 마찬가지라고 주장합니다. 공급 측은 분리되어 고려 될 수 없지만 수요 조건의 영향을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경제는 경로 의존적 시스템입니다.
PKE는 JM Keynes와 Michal Kalecki, Joan Robinson 및 Nicholas Kaldor와 같은 기타 주요 인물의 작업을 기반으로합니다. PKE라는 용어는 1970 년대부터 주류 경제학이 축소되면서 PK 학술지 및 컨퍼런스가 형성되면서 사용되었습니다. 처음부터 PKE는 주류에 의한 케인즈 주의적 주장의 퇴보적인 형태의 전유에 반대했습니다. 단기 분석에서 소위 New Keynesian Economics와 유사하지만 근본적인 차이점도 있습니다. PKE는 미세 기초 최적화의 필요성과 장기 공급측 균형 개념을 거부합니다. 재정적 불안정의 가능성을 강조합니다. 그리고 비자발적 실업을 설명 할 필요가있는 시장 경제의 정상적인 특징으로 간주합니다.
이념과 정치적 목표
PK 이론 자체는 원칙적으로 광범위한 이데올로기 또는 목표와 호환됩니다. 한편으로는 PKE는 자본주의를 극복하고자하는 사회주의 정치인의 분석적 틀<뭐?? 포스트 케인지안은 사회주의와 정치 시스템과 관계가 없다고?>이 될 수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친 자본주의 투자 은행가가 경제 환경을 분석하는 도구가 될 수도 있습니다. 요점은 PKE가 자본주의를 유지하든 극복하든 관계없이 거시 경제적 관점에서 자본주의 시스템의 역학을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PKE는 다른 이데올로기에 적합하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학자에는 이론 평가에 사용하는 특정 이데올로기가 있습니다.
포스트 케인즈주의는 어떤 주요 정치 운동과도 강하게 또는 고유하게 연관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포스트 케인즈 주의자들은 일반적으로 자본주의를 제거하기를 원하지 않고 그것을 길 들여서 자유주의와 사회주의 사이의 중간 경로를 구성 할 경제 시스템을 구상하기를 원한다고 말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따라서 많은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자들의 중심 이데올로기 적 토대와 정치적 목표는 사회 민주적 사고의 역사적 발전과 비 제로섬 게임, 계급 협동 자본주의에 대한 전망에 대한 강조에서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많은 포스트 케인즈 주의자들은 1990 년대에 신자유주의가“제 3의 길”로 전환 한 이후 서구 자본주의 국가의 사회 민주당이 내놓은 정치 프로그램에 강하게 동의하지 않는다.
사회적 진보적 자본주의 추구를 정당화하면서, 케인즈 이후의 많은 경제학자들은 1950 년대부터 1970 년대까지 자본주의의 황금기 나 포드주의 체제에서 이러한 전망에 대한 역사적 우선권을 발견했다고 주장한다. 이시기는 특히 선진 자본주의 국가에서, 기능, 꾸준한 경제 성장 하는 소득의 더 평등 한 분배 , 전체 (또는 가까운 전체에) 고용하는 강력한 사회 안전망 , 금융 부문의 더 많은 규제 와 더 적극적으로 개입 상태에서 종사 총수요 관리이후의 '신자유주의 시대'에서 본 것보다. 이 시대의 특징은 포스트 케인즈 주의자들이 옹호하는 일종의 경제 시스템에 대한 일종의 청사진으로 볼 수 있습니다. 거기에 도달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정치적 목표는 국가와 정치 경제 시스템의 효과를 바꾸는 것입니다. 이것이 사회적, 정치적 영역에서 어떻게 성취 될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은 PK 문헌에서 종종 직접적으로 답변되지 않습니다. 전체 경제 또는 자본주의 체제의 특정 변화로 이어질 수있는 사회 경제적 및 사회 정치적 요인에 대한 질문을 PKE에서 조사하는 몇 가지 시도가 있지만, 이러한 질문은 PK 학술 문헌의 주요 관심사가 아니라고 주장 할 수 있습니다. . 차라리, PKE는 자본주의와 관련된 불안정성 및 / 또는 지속적인 구조적 약점을 피하기 위해 거시 경제 수준에서 달성해야 할 사항을 명시합니다. 여기에는 정체, 과도한 인플레이션 또는 디플레이션, 경기 침체, 금융 및 경제 위기 등이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많은 포스트 케인즈 주의자들은 자본가들과 노동자들 사이에보다 균일 한 소득 분배가 총수요와 성장을 촉진 할 것이며 따라서 자본가 계급의 총 이윤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PKE의 경우 정치적 목표로서의 사회적 결속과 높은 고용 수준을 유지하고 생활 조건을 개선하는 경제적 수단으로서의 성장 사이에 근본적인 상충 관계가 없다는 사실을 강조합니다. 하나, 정치적 변화로 이어지는 사회 발전에 대한 분석은 PKE의 특정 경제 정책 권장 사항과 관련하여 사소한 관심사이므로 정치에 대한 PK 접근 방식이 기술주의와 어느 정도 친화력이 있다는 인상을 쉽게 얻을 수 있습니다. 많은 포스트 케인즈 주의자들이 그들의“기술적”권고안이 실행되는 것을 방해하는 사회 정치적 문제를 잘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렇습니다.
대부분의 포스트 케인즈 경제학자들은 완전 고용, 낮은 수준의 소득 불평등, 높은 수준의 개인 자유와 함께보다 사회적으로 공정한 시스템을 달성한다는 아이디어에 동의 할 것입니다. 오늘날 많은 케인즈 이후 경제학자들은 환경 적 관점에서 무한 성장이 문제라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완전 고용을 달성하기위한 핵심 도구로 남아 있으므로 PKE의 핵심 목표로 볼 수 있습니다.
PKE 는 단기 및 장기적으로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재정 정책 에 대한 적극적인 역할과 함께 거시 경제 정책 혼합을 선호 합니다. 통화 정책 은 통화, 금융 및 실물 부문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저금리를 목표로해야합니다. 경제를 안정시키는 다른 정책은 신용 통제, 자산 기반 준비금 요건 등을 통해 엄격한 금융 시장 규제를 통해 달성 할 수 있습니다. 또한 중앙 은행이 최후의 수단으로 대출 기관 역할을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임금 및 소득 정책원하는 인플레이션 율에 따라 명목 단위 노동 비용이 꾸준히 증가해야합니다. PK 경제학자들은 일반적으로 노동 조합을지지합니다. 그들은 임금 협상 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가격 안정에 영향을 미칩니다. 에 관한 국제 경제 정책 , PKE는 오랫동안 자신의 경쟁력있는 제조업을 구축 할 도움이되지 않는 한 가난한 나라에 도움이 자유 무역을 생각하지 않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케인즈 이후의 사람들은 자본 통제, 환율 관리 및 유아 산업 보호를 선호합니다.
namu.wiki/w/%EB%B9%84%EC%A3%BC%EB%A5%98%20%EA%B2%BD%EC%A0%9C%ED%95%99
news.joins.com/article/21891604
www.exploring-economics.org/en/orientation/post-keynesian-economics/
'리포트 연구자료 등 탐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단테-원재자 슈퍼사이클-재정정책 =인플레이션 상승 (0) | 2021.05.19 |
---|---|
글로벌 도시들의 소득대비 주택가격지수는 어떻게 될까? 서울의 위치는? (0) | 2021.05.18 |
인플레이션 = 세금. 인플레이션세 / 인플레이션 조세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1.05.17 |
요즘 대한민국에서 가장 무시받는 '무죄 추정의 원칙'(성범죄)(미완성) (0) | 2021.05.12 |
투자 관련 경제지식 모음. 인플레이션/금리/자산가격/주식/부동산 등 (0) | 2021.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