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개인의견 448

나는 정도/정의/정상 추구할 뿐인데, 왜 나를 편향됐다고 비난하나요? 에 대한 답변

나는 정도/정의/정상 추구할 뿐인데, 왜 나를 편향됐다고 비난하나요? 에 대한 답변 나는 최근 5년 정도 이러한 기법의 반박을 많이 들어왔다. 이것은 어떠한 개인의 머리에서 생각난 것이 아니라, 대한민근 사회 저변에 깔린 인식이다. 이 같은 인식은 소위 빨갱이론. 즉 좌익, 좌파, 맑시즘, 마르크스, 공산주의, 사회주의에 대한 뿌리깊은 비판 의식에 저항하는 좌익들의 심리와 관계가 있다. 물론 이 글에서는 사회주의가 모두 들렀고, 좌익이 무조건 글렀으니 비판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또한 우익이 모두 잘못되었고, 틀렸다는 이야기가 아니다. 이 글에서는 나는 정도/정의/정상 추구할 뿐인데, 왜 나를 편향됐다고 비난하나요? 에 대한 답변을 하려고 한다. 먼저. 정의/정도/정상 이 같은 기준에 대해서 말하고..

개인의견 2021.05.09

서울사이버대학 수업을 듣던 내가 경악한 이유 : 이념(사상)교육

2020년도의 일이다. 나는 필수 교양 과목 점수를 채우기 위해 교양 과목들을 뒤져보고 있었다. 그러던 와중 어떤 역사 과목을 찾게 되었다. 나는 과거 사학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가질 정도로 역사에 관심이 깊던 사람이었고 그러한 경향이 이어져 오늘 날 정치/경제에 큰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나는 당연히 해당 과목에 흥미가 돋았다. 그 수업을 듣기 전, 나는 해당 수업이 중국의 일대일로, 미국의 패권분쟁, 영국의 글로벌 영토 식민화 역사, 대항해시대, 알렉산드로스의 정복과 문화 확장. 이런 것을 배울 줄 알았다. 그러나 아니었다. 수업의 대부분은 좌편향 부동산 이념교육이었다. 좌익적 사상에 기반을 둔, 특히 자주 다루었던 것은 몇년 전부터 좌익진영에서 유행하고 있는 조지이즘. 조지 헨리 이론이다. 즉 부동..

개인의견 2021.05.08

과연 부동산은 상승하지 않는 것이 정상인걸까? 무지의 소치에 답변하겠다

www.imf.org/external/research/housing/ 정답은 '아니요'다. 부동산은 글로벌 유동성의 흐름과 경기 흐름에 따라 상승한다. 대부분 통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기 떄문에, 인플레이션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부동산은 장기 증가추세를 가진다. 다만 일시적으로 경기가 폭락할 때에는 자산가격 역시 대 폭락할 수 있다. 그러나 그마저도 2008 양적완화 시대 이후로 자취를 감추는 형국이다. www.economist.com/graphic-detail/global-house-prices Global house prices Our interactive guide to housing data across the world | Graphic detail www.economist.com 이렇듯 부동산..

개인의견 2021.05.08

연준의 자산 급락 우려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finance.daum.net/news/20210507154711062 뉴스 상세 | 다음 금융 finance.daum.net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일부 밸류에이션(가치 대비 주가 수준)이 정상적인 수준보다 부풀려져 있다면서 투자 심리가 꺾일 경우 자산 가격이 '상당히 감소(significant declines)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 주식시장에도 여파를 미칠 전망이다. 먼저 나는 이 뉴스를 이해하기 위해 현재의 상황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엄청난 과거를 기준으로 하면 고점까지 여유가 남았을지 모르지만, 근 20년 즈음을 데이터로 본다면 고점 이상이다. 이 상태에서 더 상승할 수 있을까? 아니면 경기 회복과 함께 조금씩 기대감은 하락할까? 기대치는 선반영되고, 실물경제는 아..

개인의견 2021.05.08

서울 밖으로 밀려나는 주택난민/서민 들에 대한 의견

www.sedaily.com/NewsView/22M97PX1D7?OutLink=nstand [단독] 더…더…외곽으로 밀려나는 '주택난민' 경기도 한 아파트 단지 전경./서울경제DB 전세가는 물론 매매가마저 급등하면서 주택 난민들이 수도권에서 먼 외곽으로 밀려나고 있다. 서울·경기·인천 등 전체 수도권 인구는 늘고 있지만 서 www.sedaily.com “서울은 여전히 누구나 다 들어오고 싶어하는 곳인데, 주택 관련 규제가 늘고 주택 공급이 멈춰 가격이 크게 오르면서 수도권 외곽으로 나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 된 것”이라며 “여기에 지방에서 유입된 인구가 예전 같으면 서울 인근의 과밀억제권역 중심으로 몰렸겠지만, 너무 비싸다보니 성장관리권역에 자리 잡을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먼저. 나는 이러한 현상..

개인의견 2021.05.07

미얀마에 대한 미국, 중국, EU의 정치관계에 대한 생각들

www.hrw.org/news/2021/05/05/un-security-council-adopt-global-arms-embargo-myanmar UN Security Council: Adopt Global Arms Embargo on Myanmar www.hrw.org 안전 보장 이사회가 제재 결의안을 논의하지 않으려는 것은 전 세계의 많은 행동 촉구에 유의하지 않은 집단적 실패를 나타냅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안전 보장 이사회 가 정권과 군 소유 대기업의 지도부에 대해 표적 제재 , 전 세계 여행 금지 및 자산 동결을 부과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 군부 지도자 인 민 아웅 흘링 (Min Aung Hlaing) 장군과 다른 여러 군 관리들이 반 인도적 범죄와 전쟁 범죄에 연루되었습니다.Rakhine, ..

개인의견 2021.05.07

민주당 김용민, 유시민 기소 정치적 의도 의심에 대한 의견

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0&oid=011&aid=0003907030 김용민 "유시민 기소, 檢 정치적 의도 의심" 주장에 박주민 "판단 좀 안 맞는 듯" [서울경제] 검찰의 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 기소와 관련, "검찰의 '정치적 의도'가 의심된다"고 주장한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의 발언을 두고 같은 당 박주민 의원이 다른 견해를 내놨 news.naver.com 박 의원은 6일 전파를 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유시민 이사장에 대한 기소가 정권에 대한 공격이다, 이렇게 보는 것 자체가 안 맞다"면서 "유 이사장이 현 정부의 사람이거나, 현 정부에 관여하는 사람이 아니지 않나"라고 김 최고위원의 주장을 반박했다...

개인의견 2021.05.07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테이퍼링/테이퍼링 텐트럼에 대한 생각

먼저... 나는 미국이 2023까지 긴축을 하지 않고 버틸 수 없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페이스북에서도 여러 번 썼지만, 현재 일부 국가에서는 인플레가 강하게 발생하거나 발생할 조짐이 있으며, 이로 인한 금리 인상 등의 조치가 있었다. 글로벌 전체로 보면 아주 작은 현상이었지만 나는 그 부분에서 분위기가 바뀌었다고 생각했다. 어쩄든 미국은 코로나로 인한 데미지가 가장 큰 국가들 중 하나였고, 지금은 백신으로 인해 가장 회복속도가 빠른 국가들 중 하나이다. 당연히 그동안 억눌렸던 경기가 살아나면서 기저 효과로 인한 인플레이션, 자산가격 상승으로 인한 소비는 강하게 발현될 것이다. 참고자료에 쓴 글과 같이 다양하고 새로운 요소들로 인한 부분들도 인플레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백신이 집단면역과 가..

개인의견 2021.05.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