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曰 "탈원전 항복. 친원전 간다"
EU 10개국이 탄소중립, 에너지주권을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 수단으로 원자력을 제시
- 탈원전 혹은 탈탄소, 신재생에너지 이념에서 가장 선두를 차지하고 있던 유럽
- 대한민국 좌익진영이 모토로 삼은 유럽에서 나온 발언이기에 더욱 큰 의미
- 해당국은 프랑스, 핀란드, 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슬로바키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불가리아
- 최근 신재생에너지 비중 폭등으로 인해 전력공급 안정성이 떨어져 그린플레이션 발생
- 그린플레이션으로 인해 LNG 유럽 수입가격은 6개 가량 폭등. 당연히 전기료 역시 폭등
- 신재생 에너지의 에너지 부족구간마다 석탄, 석유발전, LNG 발전 등이 증가
- 특히 유럽은 신재생에너지를 강화하며 LNG를 공급하는 러시아로부터 일종의 에너지 노예국으로 전락
- 독일, 영국 등 대표적인 선진강국들 역시 마찬가지인 사정
프랑스의 경우 전력의 70% 가량을 원자력에 의존
- 2025년도까지 원자력 비중을 50%까지 내리는 탈원전 정책을 발표했으나, 기한을 10년 연장
- 신재생 에너지의 약점인 그린플레이션에 항복. 원전+수소 투트랙전략을 발표
- 기존의 대형원전보다는 원가는 다소 높지만 안정성이 강화된 소형원자력 SMR을 강화
원자력은 기본적으로 효율이 높고 환경과 관계없이 연중 일정하게 전력을 생산할 수 있는 수단
- 안전성 논란이 있지만 원자력의 어마어마한 효율에 비하면 조족지혈적인 문제
- 환경단체 및 신재생에너지 업체들의 원가통계는 다소 과장되어 있으며 신재생 에너지의 불안정성으로 인한 원가 폭증 시기를 감안하지 않음
- 대한민국의 경우 에너지원의 100%를 수입에 의존하는 에너지 순노예국
- 에너지 가격이 폭증하게 될 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을 시 전력원가 폭증과 그로 인한 불안정성 폭증
- 그렇기에 더더욱 연중 일정하게 저렴하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원전이 필요
[e글중심] 유럽 10개국 장관 “원전이 중요” 기고…한국, 반대로 가나 | 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14713#home
[사설] "기후변화에 최상의 무기는 원전" 유럽 10개국 장관의 공동기고 - 오늘의 매경
https://www.mk.co.kr/today-paper/view/2021/4987577/
유럽 10개국 "기후변화 대처에 원전은 최고의 무기"…대비는 연2.99% 자금으로 - 매일경제
https://www.mk.co.kr/news/stock/view/2021/10/972713/
천연가스 값 4배 뛴 유럽… 결국 돌고 돌아 원전으로 회귀 - 파이낸셜뉴스
https://www.fnnews.com/news/202110131736400628
마크롱의 ‘프랑스 2030′ 플랜… 원전·수소 두 날개로 난다 -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europe/2021/10/13/VQB7CPNIVFCD7DPOMCBTRU7HCE/
"[사설] 나 홀로 탈원전정책에 경종 울리는 유럽 원전 회귀 강풍"- 헤럴드경제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211014000559
文 정부선 끝난 줄 알았는데…결국 돌고 돌아 원전株 | 한경닷컴
https://www.hankyung.com/finance/article/2021101460666
탈원전 외치던 마크롱, 원전에 1.4조원 투자 : 네이트뉴스
https://m.news.nate.com/view/20211014n00106?mid=m04&list=recent&cpcd=
EU “원자력, 기후변화와 싸울 최고의 무기” < 종합 < 뉴스 < 기사본문 - 인사이트N파워(Insight Nuclear Power News)
http://www.inp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2271
2021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스태그플레이션을 통해 기억해야 할 것
https://gang8806.tistory.com/1181
중국의 전력난과 이로 인한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https://gang8806.tistory.com/1177
브라질 초 인플레이션 10.25% 근황과 요약
https://gang8806.tistory.com/1176
2020~2021 인플레이션 일시적이라고 본 사람들 모음(문재인 정부, 바이든 등)
https://gang8806.tistory.com/1159
그린플레이션에 충격받은 유럽. 신재생 불안정 논란에 원자력 확대 의견제시
https://gang8806.tistory.com/1158
호주 석탄 수입제재로 인한 중국의 전력난과 서플라이 체인 붕괴
https://gang8806.tistory.com/1146
원자력 비중이 줄지 않았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카이스트 교수님과 함께하는 팩트체크
https://gang8806.tistory.com/1142
문재인 정부의 거짓말과 전기료 인상. 그리고 그린플레이션
https://gang8806.tistory.com/1125
그린플레이션. 친환경 정책이 만들어내는 인플레이션
https://gang8806.tistory.com/1053
'조사해보았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징어게임 오일남 역, 배우 오영수 인터뷰 선공개분 요약 (0) | 2021.10.16 |
---|---|
성남시 대장동 게이트 수사가 미진한 이유는 검찰총장에 있다는 소문을 조사해보았다 (0) | 2021.10.15 |
SK 회장 최태원은 대장동 게이트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중 (0) | 2021.10.13 |
박근혜 특검 박영수. 성남시 게이트 논란 화천대유와 연관성 존재 (0) | 2021.10.13 |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해소의 기미가 보인다 (0) | 2021.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