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29

주적은 미국이라는 이루다. 쉬는동안 좌익 반미주의 학습해 돌아온 이루다

여론 이루다 제작진 빨갱이냐? 20대여자 평균치 내서 한거 맞네 ㅋㅋ ?? : 역사를 배우는 이유는 성숙한 반미의식을 기르기 위해서입니다. https://namu.wiki/w/%ED%99%A9%ED%98%84%ED%95%84 황현필 - 나무위키 역사를 가장 역사답게 가르친다고 자부하는 황현[2] 필입니다.- 오프닝 멘트 ​ 2019년 6월 10일에 유튜브 채널을 개설하였다. 채널 이름은 "황현필 한국사". 한국사 시험과목 수험생이 아닌 보통사 namu.wiki 리루다 동무 그냥 메갈여시 사상 모은거 아니냐ㅋㅋㅋ 여시패치 아주 제대로 됐네 ㅋㅋㅋ 주적이 미군이라고???!! 무슨 정신머리야?? 70년전에 자유를 위해서 같이 피흘리며 싸워주고, 전쟁끝나고 원조도 제일 열심히 해준 나라한테 존나 당당하네ㅋㅋㅋ ..

펌-이슈 2022.11.16

해외)미국 에너지 카르텔 OPEC 견제법 NOPEC 법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미국 원유 카르텔 견제법 NOPEC 법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코로나 이후 글로벌 인플레이션, 통화량,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등으로 인해 120~130달러 선까지 상승 그러나 이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지속되고,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응한 글로벌 긴축 기조가 지속 리세션 우려로 인한 원유 가격 120달러 수준에서 80달러 수준까지 하락 이에 OPEC+는 원유 가격을 부양하기 위해 200만배럴/d 의 감산을 결정 이는 글로벌 일 생산량의 2% 가량이라 하며 이 같은 기조와 수요 유지에 의해 100달러까지 유가가 상승할 것이라는 여론 확대 그러나 이는 안그래도 과잉된 글로벌 인플레에 상승압력을 가할 요인이고 지지율 하락 위기에 놓인 바이든과 민주당은 OPEC 카르텔 견제법 NOPEC 법안을 통과 22...

미 연준의 포퓰리즘성 긴축완화 우려가 상당부분 해소된 것으로 추정

결론 서방은 현재 점진적으로 경기 하방, 인플레 하강이 점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만족하기에는 여전히 지나치게 경기가 상방에 있다 또한 동양의 경우 밸류체인 재편, 위드코로나 등으로 인해 현재 경기가 당장 나쁘지는 않다 종합적으로 보았을 때 긴축은 지속되어야 하며 동양의 경기 하방을 이유로 긴축완화를 해야한다는 월가 의견에 절대 동의할 수 없다 브레이너드 부의장의 긴축 찬동은 일종의 민주당의 긴축 찬동이라는 식으로 보아도 무방하리라 추정하고 있다 브레이너드는 단순 연구원이 아니라 좌익 정치계의 통화정책 의견 전달책이라 개인적으로는 그리 생각하고 있다 코스닥에 상방배팅을 현재 당장 걸고 싶지는 않다. 개인적으로는 한두번정도 큰 하락이 더 발생해주면 신뢰를 갖고 강하게 단기 상방 배팅을 할 수 있을것 ..

개인의견 2022.10.01

해외자료)파생의 마녀가 불러오는 지옥으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금 투자

해외자료)파생의 마녀가 불러오는 지옥으로부터 회피하기 위한 금 투자 자료 요약 1929.10의 주식시장 붕괴, 2008 금융위기 등 역사적으로 위칭시즌에 주식시장이 하락한 사례는 빈번하다 이는 우연일까? 아니면 운명일까? 현재 글로벌 지표들이 대부분 하락전환했거나 이미 하락하고 있다 미국은 이미 기술적 침체에 빠졌고, 중국도 뒤를 따를 것이다 전 세계의 기업들의 마진은 원자재, 노동비, 렌트비 등 다양한 비용 증가로 인해 하방압력을 받고 있다 유럽에서는 그린플레이션, 러시아 천연가스 쇼크로 인해 이미 지옥에 떨어져 있다. 전기료가 최근 하락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과거 평균에 비해 몇 배나 높은 수준이다 현재 러시아의 상황과, 유럽의 대표 독일의 상황을 대조해보라 유럽의 제조, 금융, 첨단산업 등 대부분의 ..

2022 중국 경제 성장률 4~5% 수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2022 중국 경제 성장률 4~5% 수준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2022 중국의 핵심 키워드는 '안정' 경제 안정화, 공급망 안정화, 내수 안정화, 탄소중립 안정화 등 중국은 2022 4~5%대 성장을 할 것으로 추정 중국은 이미 세계 2위 규모의 경제대국이며 과거와 같은 초고성장은 불가능한 구조. 장기적으로 성장률은 하락할 전망 중국 경제 성장률 하락의 기타 원인은 글로벌 평균대비 빠르게 진입한 유동성 긴축 부동산 규제, 기업 규제, 강력한 사회주의 규제 정책 강화 고인플레이션, 원자재 가격 폭등, 공급망 쇼크 등 다만 2022년 하반기는 시진핑 3기 집권이 예정되어 있기 때문에 대규모 재정지출 등 유동성 완화정책이 나올 것으로 추정 현재 중국에서는 지준율 완화를 통해 지나친 긴축구조는 피할 것임을 천명 ..

조사해보았다 2021.12.16

미국 주도의 민주주의 연합, 인도 태평양 경제 틀(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구상 발표

바이든 행정부, 인도 태평양 경제 틀(Indo-Pacific economic framework)구상을 발표 기본개념 : 미국 주도의 민주주의 연합. 신뢰가치사슬(TVC) 실시시기 : 2022년 초순 경부터 공식적인 논의 절차 시작 CPTPP 복귀는 없다고 단언 다만 대부분의 국가는 미중 어느 한 쪽에게 미움받을 수 있는 가능성에 우려 중 주요 논제 미국의 인도태평양 전략 강화(경제 부문) 세계의 공장인 중국 위주의 공급망 배제 혹은 견제 글로벌 서플라이 체인 재편 전략 반도체 공급망 분산/유연화 무역 활성화 디지털 경제와 그 기준 탈탄소 사회간접자본 노동 기준 관련자료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해소의 기미가 보인다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해소의 기미가 보인다 차량용 반도체 부족으로 인해 차량 생산에까지..

조사해보았다 2021.11.21

윤석열 "사드 국방은 한국 정부의 주권. 한미일 공조 역시 필연" + 문재인 정부의 3불합의 및 반미반일주의

요약 윤석열 曰 "사드를 포함한 한미일 공조 등의 문제는 대한민국 정부의 주권사항" "문재인 정부의 3불정책은 정상적인 협정이 아닌, 문재인 정부의 입장에 불과" "사드는 북핵 미사일에 대한 방어책. 중국에 대한 도발로써 오인하지 말라" "국내 전술핵, 나토식 핵공유를 기용하자는 부분은 현실적으로 어려워" "한국이 현실적으로 북핵에 저항할 수 있는 수단은 요격, 감시 시스템. 그것을 한국 독자적으로 완벽하게 할 수 없기 때문에 한미일 공조가 필요한 것" "북한의 비핵화가 묘연한 상황에서 한미일 정보군사협력의 강화는 필연적인 것" 2017년 문재인 정부와 중국 정부간의 비밀협상 내용인 사드 3불 협의(합의) 중국이 먼저 언급해 숨겨져 있던 사드 3불 협의(합의)가 공개 중국이 주장한 3불 협의(합의)의 내..

조사해보았다 2021.11.12

마침내 발효되는 RCEP. 중국 중심의 아시아 FTA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마침내 발효되는 RCEP. 중국 중심의 아시아 FTA에 대해 조사해보았다 규정에 따라 2022년 1월 정식 발효가 가능해지는 RCEP 글로벌 GDP 비중 30% 글로벌 교역량 비중 32% 글로벌 인구 비중 40% 한국의 RECP 가입국가향 수출비중 50% 상품무역 관세 철폐율 약 90% 서비스무역 내국민 혹은 최혜국 대우 원산지 증명 등 규제 간소화, 최소화 추진 데이터 국경간 이동 보장 설비 현지화 강요 금지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주요 가입국들은 대부분 아시아 국가들. 브루나이, 캄보디아, 라오스,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일본, 중국 등 중국이 실질적으로 주도하게 될 RCEP에 미국은 초긴장 상태 중국이 이대로 글로벌 영향력을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될시에 미국은 패권국으로써의 지위를 점진적으로 상실할..

조사해보았다 2021.11.03

미얀마에 대한 미국, 중국, EU의 정치관계에 대한 생각들

www.hrw.org/news/2021/05/05/un-security-council-adopt-global-arms-embargo-myanmar UN Security Council: Adopt Global Arms Embargo on Myanmar www.hrw.org 안전 보장 이사회가 제재 결의안을 논의하지 않으려는 것은 전 세계의 많은 행동 촉구에 유의하지 않은 집단적 실패를 나타냅니다. 휴먼 라이츠 워치는 안전 보장 이사회 가 정권과 군 소유 대기업의 지도부에 대해 표적 제재 , 전 세계 여행 금지 및 자산 동결을 부과해야한다고 말했습니다 . 군부 지도자 인 민 아웅 흘링 (Min Aung Hlaing) 장군과 다른 여러 군 관리들이 반 인도적 범죄와 전쟁 범죄에 연루되었습니다.Rakhine, ..

개인의견 2021.05.07
반응형